영가들의 존재 명칭 유례 알아보기





대한민국의 전통 문화와 민간신앙에는 다양한 종류의 영가와 귀신이 존재합니다. 이들은 한국인의 의식 깊숙이 자리 잡은 신화적 원형으로, 초자연적 능력을 가진 존재로 여겨집니다. 이러한 귀신들의 세계를 들여다보면 우리 조상들의 삶과 믿음, 그리고 두려움을 엿볼 수 있습니다.

사령(死靈): 불행한 인간의 영혼


사령은 불행하게 죽은 사람들의 영혼을 일컫습니다. 이들은 대개 한을 품고 떠돌아다니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객귀(客鬼)

객사한 사람의 혼령입니다. 집을 떠나 타지에서 불의의 사고로 죽은 이들의 영혼으로, 집으로 돌아오지 못해 떠돌아다니는 것으로 믿어집니다.

영산(靈山)

억울하고 참혹하게 죽은 원혼을 뜻합니다. 이들은 깊은 원한을 품고 있어 산 사람들에게 해를 끼칠 수 있다고 여겨집니다.

손각시와 몽달귀신

손각시는 시집 못 가고 죽은 처녀의 원혼이며, 몽달귀신은 장가 못 가고 죽은 총각의 원혼입니다. 이들은 특히 결혼적령기의 젊은이들에게 해를 끼칠 수 있다고 믿어졌습니다.

역신(疫神): 질병을 일으키는 귀신


역신은 사람들에게 병을 일으키는 귀신들을 말합니다.
호구신(戶口神)

천연두를 일으키는 귀신으로, 별성마마, 손님마마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립니다. 과거 천연두가 무서운 질병이었던 만큼, 이 귀신은 특히 두려움의 대상이었습니다.

저퀴와 정귀(精鬼)

사람에게 씌어 심하게 앓게 하는 귀신입니다. 이들은 주로 정신적인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여겨졌습니다.

잡신: 기타 다양한 귀신들


도깨비

한국의 대표적인 귀신으로, 장난을 좋아하고 때로는 사람들을 홀리기도 하지만, 때로는 도움을 주기도 하는 양면성을 가진 존재입니다. 제주도에서는 도깨비를 동신(洞神)으로 모시기도 합니다.

수비(隨夫)

굿에 모여드는 온갖 잡귀를 일컫습니다. 이들은 주로 굿판에서 먹을 것을 찾아 모여드는 하급 귀신들로 여겨집니다.
두억시니
모질고 악한 귀신으로, 특히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려 하는 존재로 알려져 있습니다.

귀신 다루기: 민간의 지혜


우리 조상들은 이러한 귀신들의 해를 막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사령제(死靈祭)

불행한 인간의 사령을 달래기 위해 지내는 제사입니다. 씻김굿, 해원굿 등이 여기에 해당하며, 이를 통해 원령이 원한을 풀고 저승으로 갈 수 있도록 합니다.

거리풀이
모든 굿의 마지막 과정으로, 잡신들을 대접하고 동시에 퇴송(退送)시켜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지 않도록 하는 의식입니다.

원귀(冤鬼): 한 맺힌 영혼들


물귀신


물에 빠져 죽은 사람의 원혼입니다. 이들은 자신이 죽은 물가에 머물며 다른 사람을 물에 빠뜨려 동료로 삼으려 한다고 믿어집니다


원귀


억울하게 죽은 사람의 영혼으로, 강한 원한을 품고 있어 산 사람들에게 해를 끼칠 수 있다고 여겨집니다. 이들은 자신의 한을 풀기 전까지는 저승으로 가지 못한다고 합니다


자연과 관련된 귀신들


산신령


산을 지키는 신령으로, 산에 들어가는 사람들의 안전과 풍요를 관장한다고 믿어집니다. 보통 호랑이나 노인의 모습으로 나타난다고 합니다


도당귀신
마을을 수호하는 신령으로, 주로 당산나무에 깃들어 있다고 여겨집니다. 마을 사람들은 이 나무에 제사를 지내며 마을의 안녕을 기원합니다


악귀와 잡귀

악귀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려는 의도를 가진 귀신들을 통칭합니다. 이들은 주로 병을 일으키거나 불행을 가져다준다고 믿어집니다


잡귀


특정한 목적 없이 떠돌아다니는 귀신들을 말합니다. 이들은 주로 제사나 굿판에 모여들어 음식을 먹는다고 여겨집니다

특수한 귀신들


새우니


무당이 부린 귀신이 강력한 힘을 얻어 통제불능이 된 악귀입니다. 날씨를 변화시킬 정도로 강력하며,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강한 귀신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세타니


어미에게 버림받아 굶어 죽은 남자아이의 원귀로, 태자귀보다 더 위험하고 능력이 강하다고 합니다


영험한 귀신들


동자귀신


3세 미만의 어린아이가 죽어서 된 귀신으로, 남자아이는 태주, 여자아이는 명도라고 부릅니다. 이들은 변덕이 심하지만 매우 영험하여 무당들이 특별히 대우합니다


선관도사와 선녀부인


결혼하고 자식도 있었지만 한이 남아 이승에 머무는 귀신들입니다. 이들은 영력이 강해 무당의 몸에 깃들어 길흉사를 예언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한국의 귀신 문화는 매우 다양하고 복잡합니다. 각각의 귀신들은 우리 조상들의 삶과 죽음에 대한 이해, 그리고 자연과 초자연적 존재들과의 관계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귀신 이야기들은 한국의 민간신앙과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2025 한화이글스 시즌권과 멤버십 구성, 가격, 혜택 및 모집 일정 안내 에 대해 알아보기

n8n노코드 자동화툴 왕초보 사용방법

make.com을 활용해 노코드 자동화로 컨텐츠 만들때 중요한 포인트들 사용법